when 문 : https://kotlinlang.org/docs/control-flow.html#when-expression 최신 언어들은 switch-case 문을 안쓰는 추세다. 대신 더 유연하고 진보적인 when문이 생김. when문은 switch-case와 유사하게 조건 표현식에 따라 여러 경우의 수에 대해 처리를 달리 해주는 표현식이다. swich 문과 다르게 break나 continue가 없다. 대신 순차적으로 조건을 체크하면서 만족하는 브랜치를 찾아 실행하게 된다. when은 그냥 statement로도 쓰일 수 있지만, expression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글쓴이:] batmask
안드로이드 빌드 구성하기 #3
Code block Pro 자꾸 에러나서 짜증나네. 어쩔 수 없이 새로운 포스트로 넘어옴. Filter variants flavor dimension을 사용하면 모든 조합을 사용하므로 build variant가 매우 많아질 수 있는데, 필요없는 것까지 생성될 수 가 있다. 이경우, beforeVariants { } 블럭을 이용하면 된다. 예제를 보자. 위와 같이 작성하면, “minApi21″에 “demo”버전은 build variant를 생성하지 않게된다. Source set 만들기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 빌드 구성하기 #2
Manage remote repositories 새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프로젝트에서는 레포지토리 관련된 걸 settings.gradle에서 관리한다. 로컬 라이브러리나 파일이든, 리모트 레포지토리든, dependencyResolutionManagement{ } 에 넣어준다.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이 구글 Maven 레포지토리와 Maven central 레포지토리를 포함하고 있다. 로컬 레포지토리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mavenLocal()을 사용한다. 또는 다음과 같이 특정 레포지토리를 직접 추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gradle의 레포지토리…
안드로이드 빌드 구성하기 #1
JDK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해 빌드하면, 자체적으로 설정된 JDK를 사용한다. sudio.jdk 디렉토리가 있음. 또는, JetBrains Runtime(JBR)이라고 JDK확장버전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랑 함께 배포하게 되는데, 이를 사용하고 이 방법이 권장된다. 커맨드 라인으로 빌드하게 되면, JAVA_HOME을 찾고 없으면 PATH에 있는 java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JDK가 안맞게 된다. 같이 사용한다면, 두 버전을 맞춰줘야 함. 빌드 할 때 처음에는…
Android: Kapt to KSP
공식 문서 Migrate from kapt to KSP 에 잘 설명되어 있다. Kapt Kapt는 the Kotlin Annotation Processing Tool 의 약자로 Java Annotation을 코틀린에서 사용가능하도록 만들어준다. 결과적으로 Kotlin 코드에서 Annotation들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Room Database를 사용시 다음과 같은 Dao코드를 필요로 하는데, @Dao, @Query 등이 코드에 부가적으로 달려있는 annotation이며 Kapt는 이를 해석하고 필요한 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