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뮬레이터가 되긴 하지만, 컴터가 좀 구려서 바로 이전에 쓰던 폰을 테스트 시료로 사용중인데, 이놈이 USB포트 접촉불량이 좀 있다. USB선을 건드리지 않고 쓰는게 너무 스트레스라 찾아보니 역시나 adb를 리모트로 연결하는 법이 있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도 인식해서 무지 편해짐. 1. Android 11 이전 방법 참고로, android 11부터 무선 디버깅(wireless debugging)이 추가 됐다. 먼저 android 11 이전버전에서의 방법을 알아보자….
[카테고리:] 기타
메인 카테고리 소속되지 않는 개발 관련 팁
Android Release names and API level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releases/platforms 참조. 년도 코드명 버전 API 레벨 2020 android 11 30 2019-2020 android 10 29 2018 Pie android 9 28 2017 Oreo android 8.1 27 2017 Oreo android 8.0 26 2016December Nougat android 7.1Revision 3 25 2016November Nougat android 7.1Revision 2 25 2016October Nougat android 7.1Revision 1 25 2016August Nougat android 7.0 24 2015November Marshmallow…
Python: Qt QSlider 에 기능추가하기
music player를 만들어 보고 있는데, QSlider가 의외로 기능이 부실해서 그대로 쓸수가 없었다. 미디어 플레이어들을 보면, slider에 클릭 한번으로 위치를 이동하고, 드래그도 부드럽게 되는걸 볼 수 있다. 반면, 기본 QSlider는 임의 위치 클릭이 page 단위 이동을 의미하고, 슬라이더 바를 드래그 할 수 있지만, 자연스럽지 않게 tick 단위로 움직인다. 이를 보완하며 알게된 점을 기록해본다. Qt Designer에 custom…
Design Pattern: Observer
블로그나 유튜브를 보면, 구독을 해놓고 새글이나 영상이 올라올 때 알람을 받는다. 이런 상호작용을 게시-구독(Publish-Subscribe)관계라고 한다. Observer pattern은 이처럼 observer를 등록해놓고 대상의 변화에 대한 알람을 받는 경우에 적용되는 design pattern이다. Observer pattern은 callback의 형태로 이미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고 경험해봤을 것이다. 안드로이드에서 BroadcastReceiver를 등록해 사용하는 것도 이런 형태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를 두고 여러방식의…
OOP: constructor and inheritance
상속과 관련해서 생성자는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헷갈릴만한 포인트들이 있어 한 번 정리해 놓는다. Kotlin 코틀린은 생성자에 클래스이름을 쓰지않고 ‘constructor’라는 키워드를 쓴다. 여러 생성자를 가질 수 있으나, primary constructor는 클래스 첫 라인을 활용한다. ( Kotlin 공식문서 참조 ) 두번째 라인처럼 키워드를 안써줘도 된다. 또한, 세번째처럼 class property정의를 써서 추가적인 할당코드없이 간단하게 사용도 가능하다. 조금 당황스러울 수…